반응형

결과, 사건, 표본공간 result, event, sample space

결과, 사건, 표본공간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흔히 '사건'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수학에서도 '사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수학에서 말하는 사건은 일종의 집합 개념이다. 사건의 개념을 어떻게 집합으로 표현하는지 알아보자.


[참고] 시행의 정의


 <결과의 정의 / 사건의 정의>

 결과시행으로 인해 나타난 여러 가지 현상을 말하며, 사건이란 결과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말한다.


<사건이 일어나다>

 어떤 시행으로 나타난 결과 r로 인해서, 어떤 사건 E가 일어났다는 것



가 성립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어떤 사건 E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가 성립하는 경우를 말한다.


 <표본공간의 정의>

 표본공간이란 어떤 시행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집합을 말한다. 표본공간의 정의와 사건의 정의로부터, 사건을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으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주사위를 던지다'는 시행이 있다고 하자. 그 시행에서 '눈금으로 i가 나오는 결과'



와 같이 표현한다고 하자. 주어진 시행에서는 6가지 결과가 나타날 수 있고, 이들 결과를 원소로 하는 집합은 가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사건 중에서  '홀수가 나오는 사건', '소수가 나오는 사건' 등 과 같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주어진 시행에서 결과



가 나타났다고 하자. 이 결과는



이므로, '홀수가 나오는 사건'은 일어났지만, '수수가 나오는 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시행에서 표본공간이란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와 같다. 정의로부터, 주어진 시행에서 나타나는 모든 사건은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어떤 시행으로부터 나타나는 결과, 사건과 표본공간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유의 사항] 위 포스트는 일반적으로 시행의 사건이나 표본공간을 정의하는 방식과 차이가 있고, 그 사항과 그와 방식으로 기술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시행의 결과' 대신 '근원사건'의 개념을 활용한다. 여기서, 근원집합이란 원소가 하나인 사건을 말하는 것인데, 그와 같이 정의하면 진작 사건이라는 집합의 원소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근원사건' 대신 '시행의 결과'의 개념으로 설명했다.


 1. 일반적으로 사건을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으로 정의한다. 여기서는 '시행의 결과'를 통해 사건과 표본공간을 정의한 이후에, 사건과 표본공간 사이의 관계를 일종의 기본 성질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했다.

반응형
반응형

페르마의 정리 Fermat's Theorem
페르마의 정리란 무엇인가?


 어떤 함수가 극값을 가질 때에 어떤 성질을 가질까? 극값에서 접선을 그으면 가로축과 평행한 접선이 나타나는데, 이로 부터 극값의 미분계수는 0이 아닐까하는 생각이든다. 이러한 추측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이 페르마의 정리이다. 그렇다면 페르마의 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페르마의 정리x에 관한 함수 가 x=c에서 극값을 가지고, 가 존재하면,

 

 

이 성립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을 통해서, 어떤 구간에서 극값을 찾는 경우에는 이거나, 그 값이 존재하지 않는 지점만 확인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 페르마의 정리가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증명) x에 관한 함수 가 x=c에서 극댓값을 가지는 경우부터 증명하자.

 

 극댓값의 정의에 의해, 인 x가 c가까이에 존재한다. 이는 다시 말해서, 0에 아주 가까운 실수 h가 존재하여,

 

 

 

이 성립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h>0인 경우, 양변을 h로 나누면,

 

 

이다. 우극한을 잡으면,

 

 

이다. 가 존재하므로,

 

 

이 성립한다.

 

 h<0인 경우, 같은 원리로 이다. 이고, 이므로 이 성립함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바가 증명되었다.

 

 함수 가 x=c에서 극솟값을 가지는 경우도 같은 원리로 증명할 수 있다. □

 

 이로써 페르마의 정리의 내용, 활용 방안과 증명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고로, 페르마가 제시한 다른 정리와 구분하기 위해, 이 정리를 '페르마의 임계값 정리'라고도 한다.)

 

반응형
반응형

댓값/최솟값, 극댓값/극솟값(극값)
최댓값/최솟값과 극댓값/극솟값(극값)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수학에서 최대/최소의 개념은 직관적으로 가장 큰 값이나 가장 작은 값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그 자체는 어려운 개념이 아니다. 하지만 이를 수학적으로 어떻게 나타내는지 알아보자.

 

 <절대 최댓값/절대 최솟값>

 x에 관한 어떤 함수 f, 함수 f의 정의역 D, 정의역 D의 원소 c가 주어진 경우에 절대 최댓값과 절대 최솟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절대 최댓값(absolute maximum)이란

 

()

 

를 만족하는 c의 x=c에서의 함숫값 f(c)를 말한다.

 

 절대 최솟값(absolute minimum)이란

 

 () 

 

를 만족하는 c의 x=c에서의 함숫값 f(c)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절대 최댓값은 최댓값으로 절대 최솟값은 최솟값으로 말한다.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 뿐만 아니라, 특정한 구간에 있어서도 최댓값과 최솟값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가 유효하다. 즉,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지는 지점은 정의된 범위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이는 구간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지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극댓값/극솟값(국지적 최댓값/국지적 최솟값)>

 x에 관한 어떤 함수 f, 함수 f의 정의역 D, 정의역 D의 원소 c가 주어진 경우에 극댓값과 극솟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극댓값(국지적 최댓값, local maximum)이란

 

 (x는 c에 가까운 값)

 

를 만족하는 c의 x=c에서의 함숫값 f(c)를 말한다.

 

 극솟값(국지적 최솟값, local minumum)이란

 

 (x는 c에 가까운 값)

 

를 만족하는 c의 x=c에서의 함숫값 f(c)를 말한다.

 

 극값극댓값과 극솟값을 아울러 말하는 개념이다. 극값과 관련해서 2가지 유념할 사항이 있다.

 

 먼저, 극값을 '국지적 최댓값/최솟값'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절대적) 최댓값/최솟값'은 주어진 정의역의 모든 값보다 커야/작아야 하는 반면, '국지적 최댓값/최솟값(극값)'은 가까운 값에 대해서만 커도/작아도 된다.

 

 한편, 극값에서 x가 'c에 가까운 값'이라는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x=c에서 극댓값(극솟값)을 가진다'는 명제는 'x=c가 최댓값(최솟값)이 되도록 하는 c를 포함한 개구간을 잡을 수 있다'는 명제와 동치이다.

 

 이로써 최댓값/최솟값과 극댓값/극솟값(극값)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수학적으로 어떻게 명확하게 정의하는지 알아둔다면, 개념을 혼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급수 판정법 (4) - 거듭제곱근 판정법 (멱근 판정법)

일반항의 거듭제곱근을 통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직관적으로 어떤 급수의 거듭제곱근이 1보다 작다면 그 급수는 수렴할 것이고, 반대로 거듭제곱근이 1보다 크면 그 급수는 발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직관적인 사실을 수학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자.


 거듭제곱근 판정법(멱근 판정법)이란 음이 아닌 실수로 이루어진 급수 에서, 극한값



이 존재한다면,   


 (1) r<1인 경우는 수렴한다.

 (2) r>1인 경우는 발산한다.


와 같은 성질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일반항의 거듭제곱근을 이용해서 주어진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 수 있다.


[1] 거듭제곱근 판정법을 증명하시오.


 (증명) (1)을 먼저 증명하자. 실수    이 되도록 잡자.  이므로 n이 커질수록  은 실수 r에 가까워지고,


m<n인 ∀n에 대해서,  ()


와 같은 자연수 m이 존재한다. 주어진 급수는



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서, 수렴함을 알 수 있다.


 (2)의 경우를 증명하자. 실수   이 되도록 잡자. 이므로 n이 커질수록  은 실수 r에 가까워지고,


m<n인 ∀n에 대해서, 
 ()


와 같은 자연수 m이 존재한다. 주어진 급수는



와 같이 정리할 수 있어서, 발산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이 1보다 크므로, 일반항 판정법에 의해 발산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항의 거듭제곱근의 크기가 1보다 큰지에 따른 급수의 수렴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로써 거듭제곱근 판정법의 정의와 그것에 대한 증명 방법을 알아보았다.


반응형
반응형

급수 판정법 (3) - 비율 판정법

일반항의 두 항 사이의 비를 통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직관적으로 어떤 급수의 수열이 꾸준히 어떤 비율로 작아지면 수렴하고, 어떤 비율로 커지면 발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직관적인 사실을 수학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보자.


 비율 판정법이란 일반항이 양의 실수인 수열   과 0<r<1이 주어졌을 때,


(1) ∀n에 대해서,  인 경우,   는 수렴한다.

(2) ∀n에 대해서,   인 경우,   는 발산한다.


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일반항의 두 항 사이의 비율을 통해서 주어진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 수 있다.


 [참고] 위에서 별도의 시작조건과 종료조건이 없는 시그마가 나오는데, 그것은 이다.


[1] 비율 판정법을 증명하시오.


(증명) (1)을 먼저 증명하자. 0<r<1이므로,



와 같은 대소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와 같은 대소관계가 성립하는데, 주어진 급수보다 큰 급수가



와 같이 수렴한다. 이와 같이, (1)의 경우는   가 수렴함을 알 수 있다.


(2)의 경우에는



와 같은 대소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이므로 일반항 판정법에 의해, (2)의 경우는 가 발산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항의 두 항 사이의 비율에 따라서 급수의 수렴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로써 비율 판정법의 정의와 그것에 대한 증명 방법을 알아보았다.

 

반응형
반응형

급수 판정법 (2) - 비교 판정법
일반항의 대소관계를 통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직관적으로 어떤 급수의 일반항이 수렴하는 급수의 일반항보다 작다면 수렴할 것이며, 어떤 급수의 일반항이 발산하는 급수의 일반항보다 크다면 발산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일반항의 대소관계와 급수의 수렴 여부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비교 판정법이란 양항급수[각주:1]의 일반항이 와 같은 관계에 있을 때,


 (1) 이 수렴할 때, 가 수렴한다.

 (2) 이 발산할 때, 가 발산한다.


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수렴 여부를 아는 급수와 두 급수의 대소관계가 주어졌을 때, 수렴 여부를 모르는 다른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 수 있다.


 [참고] 위에서 별도의 시작조건과 종료조건이 없는 시그마가 나오는데, 그것은 이다.


 [1] 비교 판정법을 증명하시오.


(증명) (2)는 (1)의 대우 명제이기 때문에, (1)이 성립함만을 보이면 된다.


  은 수렴하는 급수이기 때문에, 그 수렴하는 값을 실수 M이라고 두자. 일반항 사이의 대소 관계로부터,


 


와 같은 관계를 구할 수 있다. 이로 부터, 수열 


 


와 같이 둘 수 있다. 수열   은 실수 M보다 항상 같거나 작으므로 위로 경계가 있고, 수열   은 양항급수이기 때문에 증가수열이다. 위로 경계가 있고, 증가수열이기 때문에 실수의 완비성에 의해 극한값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주어진 조건에서   이 항상 극한값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므로, 비교판정법이 성립함을 증명하였다. □


 이로써 비교 판정법의 정의와 그것에 대한 증명 방법을 알아보았다.


  1. 음이 아닌 실수로 이루어진 급수 [본문으로]
반응형
반응형

함수의 극한

함수의 극한이란 무엇인가?


 수열을 일반적으로 '정의역이 자연수인 함수'로 해석할 수 있다면, '수열의 극한'과 같이 함수에도 '함수의 극한'이라는 개념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함수에서는 극한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수의 극한

 

 

 

이란 x가 a에 가까이 갈수록, f(x)가 L에 가까이 간다는 것이다. 'x가 a에 가까이 간다'는 것은 'x=a로 간주한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일 때,   이다.


와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다만, 함수 f(x)는 x=a 주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함수 f(x)가 x=a 주변에서 정의된다'라는 것은 함수 f(x)가 x=a를 포함하는 열린구간에서 정의된다는 것이다. (x=a에서는 반드시 정의될 필요는 없다.)

 

 어떤 값에서의 함수의 극한은 그 값에 대해서, 작은 경우나 큰 경우에 대해서만 고려할 수도 있다.

 

 함수의 좌극한

 

 

 

이란 x가 a보다 작으면서, a에 가까이 갈수록, f(x)가 L에 가까이 간다는 것이다.

 

 함수의 우극한

 

 

 

이란 x가 a보다 크면서, a에 가까이 갈수록, f(x)가 L에 가까이 간다는 것이다.

 

 함수 f(x)가 x=a에서 극한값을 가진다는 것은 좌극한과 우극한을 모두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배운, 함수의 극한, 좌극한과 우극한의 개념을 엮어서,

 

 ⇔  and

 

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로써, 함수의 극한과 좌극한/우극한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반응형

자연상수 e의 성질 (2) - e는 무리수

e는 무리수인가?


 자연상수 e는 π와 더불어 대표적인 무리수로 알려져있다. 그렇다면 왜 자연상수 e가 무리수인지 알아보자.


 자연상수 e가 무리수인지는 귀류법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다.


[1] 자연상수 e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시오.


 (증명) 귀류법에 의해 증명하기 위해, 가 유리수라고 가정하자. 유리수의 정의에 의해, 어떤 자연수 p에 대하여, 자연상수 e와 자연수 p의 곱이 자연수가 된다. 그러한 p에 대하여,



와 같은 식을 구할 수 있다. 등식의 성질에 의해, 위 식의 (*1) 부분 역시 자연수가 되어야 한다. (*1) 부분



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자연수이므로 (1/p)는 1보다 작은 수인데, 자연수가 1보다 작다는 결론이 나왔으므로 모순이다. 자연상수 e가 유리수라고 가정했을 때, 모순되는 사실이 도출되므로, 자연상수 e는 무리수이다.


 이로써, 자연상수 e가 무리수임을 증명하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