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상적분 (2) - 적분구간에 불연속점이 있는 경우
적분구간에 불연속점이 포함된 경우에 정적분을 구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정적분은 그 구간에 불연속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구간 내부에 불연속점이 존재한다고 해서 항상 그 값을 구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적분 구간에 불연속점이 있는 경우의 정적분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상적분 중에서 적분구간에 불연속점을 포함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1) x=b에서 불연속이지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가 존재하면,
가 존재한다.
(2) x=a에서 불연속이지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가 존재하면.
가 존재한다.
2가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의 값이 존재하면 수렴한다고 하고,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발산한다고 한다.
한편,
,
가 모두 존재하면,
와 같이 정의된다.
이로써 이상적분 중에서 적분구간에 불연속점이 포함된 경우는 어떻게 값을 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
'수학(Mathematics) > (구)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함수 정리 (역함수의 미분법) (0) | 2013.02.09 |
---|---|
다르부의 정리 (1) | 2013.02.08 |
이상적분 (1) - 적분구간이 무한히 긴 경우 (0) | 2013.01.24 |
함수의 속성 (1) - 일대일 / 대응 / 일대일 대응 (0) | 2013.01.21 |
함수의 정의 (0) | 2013.01.21 |